Git 개념정리
👉 키워드
- 버전 관리
- git 초기화 (initialize, init)
- add / staging
- commit (커밋)
- commit 내역(history)
- push
- pull
- clone
- tracking
1) 개념 정리
- 버전 관리: 프로젝트 상태가 변경되는 정보를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. Git 은 가장 널리 쓰이는 버전관리 도구 중에 하나로 commit 을 사용해서 버전이 달라지는 것을 관리합니다.
- git 초기화(git initialize) : 컴퓨터에 있는 프로젝트를 Git 이 관리하는 프로젝트로 만들 수 있다. 앞으로 Git 으로 관리할꺼야! 하고 설정해주면 됩니다. 이 작업을 한다고 표현합니다.
- commit :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를 찰칵 📸 저장하는 것을 이라고 합니다.
- 누가(author), 언제 commit 했는지의 정보와 프로젝트 변경 내용.
- 작업내역이 어떤 것인지 알아볼 수 있게 적는 메시지를 'commit 메시지'라고 한다.
- add (혹은 staging, 스테이징) : commit 에 반영할지 안할지는 파일 단위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. commit 에 반영할 파일을 선택하는 것
- commit history : commit 한 순서대로 리스트
- 지금까지 우리가 한 작업은 'git 초기화하기(initialize) - add(staging) - commit' 입니다.
- git 초기화는 처음에 단 한번만 해 주면 됩니다. 작업 내역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add - commit 만 하면 됩니다.
- repo : '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' 를 Git 에서는 repo(리포, repository 리포지토리의 약자) 라고 부릅니다. 내 컴퓨터에 저장되어있는 리포지토리를 로컬 repo(local repository) 라고 합니다. Github 처럼 다른 곳에서 접속할 수 있는 공간에 저장되어있는 것을 원격 repo(remote repository) 라고 합니다.
- Tracking(추적) : 로컬 repo 와 원격 repo 를 연결한다!
- push : 로컬 repo 의 commit 들을 원격 repo 에 반영하기(push)! 밀어넣기. 원격 repo 에 없는 즉,새로운 commit 내역을 모두 원격 repo 에 한 번에 반영합니다.
- pull : 원격 repo 의 commit 들을 로컬 repo 로 반영하기(pull)! 땡겨오기. 로컬 repo 에 없는 즉,새로운 commit 내역을 모두 로컬 repo 에 한 번에 반영합니다.
- clone : 원격 repo 를 내 컴퓨터에 가져와서 초기 repo 세팅하는 것을 clone(복제하기)!
Sourcetree 실습
1) Windows에서 Git 관리 폴더 설정
- Git을 사용하기 위해서 Sorcetree를 사용
- 로컬 repo를 지정하게 되면 관리폴더에 .git 폴더가 생성된다!!!
- 로컬 repo를 지정 후 Github 홈페이지 에 접속하여 Repository를 새로 만든다. New 버튼 클릭!!!
- Repository 정보 설정
- 원격 repo 경로 복사
- Sourcetree에서 원격을 선택 후 복사한 url 입력 및 원격 이름 설정 후 확인
- 연결 완료 후 로컬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린 후 Commit 메시지 입력 & Commit!
- master branch명을 main으로 이름을 바꾼다.(바꾸는 이유는 github repo에 기본값이 main 이므로 바꾸지 않으면 branch가 2개 생성된다!!!)
- push 버튼을 클릭하여 반영할 branch를 선택 후 push한다.
- 로컬repo와 연결된 원격repo에 업로드 된걸 확인 할 수 있다.
- 프로젝트 초기 셋팅은 로컬repo와 원격repo를 설정 후 pull 버튼을 클릭하여 내려받으면 된다!!! Easy!!!
'웹 기술 쌈싸먹기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 / Github] Git...? Github...? (0) | 2022.01.27 |
---|---|
[Git / Sourcetree] Sourcetree 설치하기 & 설정 (0) | 2022.01.26 |